리눅스

리눅스 _디스크 관리

김판다 2021. 5. 22. 22:09

먼저 가상머신에 하드디스크를 새로 추가해줍니다.

*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: 파티셔닝 --> 파일시스템 만들기 --> 마운트하기

 

○파티셔닝물리적인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한 것입니다.

디스크는 최소 1개의 파티셔닝이 되어있어야 합니다.

주 파티션은 최대 4개, 확장파티션은 최대 12개로 총 16개의 파티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.

n: 파티션 생성
d: 파티션 삭제
p: 파티션 테이블 출력
w: 저장하고 나가기

파일시스템파일 및 디렉토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입니다.

 

마운트리눅스에서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디렉토리와 연결해야합니다.

연결하지 않고 사용하려고 해도 저장되지 않습니다.

 # mount  장치명  마운트포인트(디렉토리 경로)

 

 

 

 

[root@localhost ~]# lsblk
NAME            MAJ:MIN RM  SIZE RO TYPE MOUNTPOINT
sda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8:0    0   20G  0 disk 
├─sda1            8:1    0    1G  0 part /boot
└─sda2            8:2    0   19G  0 part 
  ├─centos-root 253:0    0   17G  0 lvm  /
  └─centos-swap 253:1    0    2G  0 lvm  [SWAP]
sdb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8:16   0   10G  0 disk 
sdc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8:32   0   15G  0 disk 
├─sdc1            8:33   0    5G  0 part 
├─sdc2            8:34   0    5G  0 part 
└─sdc3            8:35   0    5G  0 part 
sr0              11:0    1  973M  0 rom  

lsblk로 디스크들이 파티셔닝이 되어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.

[root@localhost ~]# fdisk -l /dev/sdc

Disk /dev/sdc: 16.1 GB, 16106127360 bytes, 31457280 sectors
Units = sectors of 1 * 512 = 512 bytes
Sector size (logical/physical): 512 bytes / 512 bytes
I/O size (minimum/optimal): 512 bytes / 512 bytes
Disk label type: dos
Disk identifier: 0x958cd6b4

   Device Boot      Start         End      Blocks   Id  System
/dev/sdc1            2048    10485759     5241856   83  Linux
/dev/sdc2        10485760    20971519     5242880   83  Linux
/dev/sdc3        20971520    31457279     5242880   83  Linux

fdisk를 사용할때는 장치명에 숫자가 붙어서는 안됩니다.

/dev/sdc1 (X)

/deb/sdc (O)

fdisk로 파티셔닝이 어디서부터 나뉘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.

 

[root@localhost ~]# mkfs.ext3 /dev/sdc1

mkfs은 파일시스템을 만들어주라는 명령어입니다.

sdc1에 ext3이라는 저널링 파일시스템을 만들어주기 위함입니다.

[root@localhost ~]# mkfs.ext4 /dev/sdc2
[root@localhost ~]# mkfs.xfs /dev/sdc3

sdc2는 ext4를 sdc는 xfs 파일시스템을 만들어줍니다.

 

[root@localhost ~]# mount /dev/sdc1 /m1
[root@localhost ~]# mount /dev/sdc2 /m2
[root@localhost ~]# mount /dev/sdc3 /m3

sdc1에는 m1를 마운트

sdc2에는 m2를 마운트

sdc3에는 m3를 마운트를 해줍니다.

 

[root@localhost ~]# df -h
Filesystem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Size  Used Avail Use% Mounted on
devtmpfs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475M     0  475M   0% /dev
tmpfs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487M     0  487M   0% /dev/shm
tmpfs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487M  7.7M  479M   2% /run
tmpfs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487M     0  487M   0% /sys/fs/cgroup
/dev/mapper/centos-root   17G  1.4G   16G   8% /
/dev/sda1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1014M  138M  877M  14% /boot
tmpfs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98M     0   98M   0% /run/user/0
/dev/sdc1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4.8G   11M  4.6G   1% /m1
/dev/sdc2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4.8G   20M  4.6G   1% /m2
/dev/sdc3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5.0G   33M  5.0G   1% /m3

df -h로 확인해주면 한 디스크에서 어느 사이즈만큼 나뉘었는지, 마운트한 디렉토리, 사용률등이 출력됩니다.